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관세 전쟁 직격탄”…LA 항만 물동량 급감, 한인 업계도 타격

서부 최대 무역항인 LA-롱비치 항만 복합단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로 인해 항만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글로벌 무역 중심지인 LA 경제에도 직격탄이 예상된다고 LA타임스가 최근 보도했다.     LA항만청의 진 세로카 청장은 “화물량이 올해 10% 감소할 수 있다”며 “컨테이너 수가 줄어들면 일자리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LA-롱비치 항만 복합단지는 국내 전체 컨테이너 수출입의 약 3분의 1을 처리하며, LA지역 경제의 핵심 동력인 무역과 물류 산업의 중심지다.   지난해 말부터 관세 시행 전 재고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항만 물동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이후 급감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물류 업계는 전했다.     MKC통관사(MKC Customs brokers)를 운영하는 마이클 최 한미관세무역연구포럼(KACTS) 회장은 “관세 폭탄을 피하려는 수입업체들이 서둘러 물량을 늘리면서 지난 2~3주 물동량이 급증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협상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일부 수입업체들이 생산지에서 선적을 기다리며 관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인 물류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과 비교하면 물동량이 20% 감소했다. 실제로 상호관세 발표 전후 수입 업체들의 물량 주문 취소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팬데믹 이후 부산에서 LA항까지 컨테이너당 2만 달러까지 치솟던 가격이 물동량이 줄면서 일부 선사가 배를 채우기 위해 컨테이너당 1000달러까지 가격을 내린 상태다. 그만큼 컨테이너 수가 줄은 것이다. 해마다 4월부터 7월까지는 물동량 증가 시기로 컨테이너당 평균 2000달러 중반인데 지금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노상일 NGL 트랜스포테이션 대표는 “수입 업체들이 이미 관세 부과를 예상하고 주문량을 늘려 현재 창고에 상품이 가득 차 있는 상태다. 이 재고 소진 시기에 따라 물동량도 변화할 것으로 본다”며 “재고가 소진되면 관세를 내고도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가격 상승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의 일괄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25%), 일본(24%), 중국(34%) 등 주요 아시아 교역국에 대해 더 높은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LA-롱비치 항만을 통해 들어오는 가전제품, 건자재, 철강, 가구 등의 수입품 대부분이 고율 관세 대상이다. 이에 따라 LA지역의 수출입 시스템과 제조업, 소비자 물가까지 전방위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관세는 해외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는 많은 LA제조업체에도 큰 부담이 된다. LA다운타운 자바시장 일부 한인 업체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생산지를 베트남, 인도 등으로 옮겼지만,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 이들 국가도 포함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 제조업 투자 확대를 통한 장기적 이득을 주장하지만, 물가 상승과 소비자 부담은 즉각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장난감, 전자제품, 신발, 가전 등 생활필수품 가격이 최대 50%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최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중국에 평균 17.5% 관세를 부과했지만 소비자 물가 영향은 4% 수준이었다”며 “한국 관세가 25% 부과되어도 수입, 유통, 소매를 거치며 흡수해 관세율이 소비자 가격에 그대로 전가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은영 기자물동량 관세 상호관세 발표 항만 물동량 대규모 관세

2025-04-08

‘관세 쇼크’ 뉴욕증시, 팬데믹 이후 최악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선언한 이튿날 뉴욕증시가 폭락했다.     3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만545.93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274.45포인트(4.84%) 내린 5396.52로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만6550.61로 장을 마쳤다.     이날 하루만에 증발한 뉴욕증시 시가총액은 3조1000억 달러 규모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뉴욕증시를 강타한 2020년 3월 16일 3조5000억 달러가 사라진 이후 최악의 매도세였다.     관세 영향을 크게 받는 다국적 기업들의 주가가 특히 폭락했다. 나이키(-13%), 애플(-10%) 주가가 급락했고 대형 수입품 판매업체인 파이브빌로우(-26%), 달러트리(-12%), 갭(-21%) 등도 폭락했다. 기술주도 전반적으로 약세였다. 엔비디아(-7%), 테슬라(-5%) 등이 하락세였다.   시장에선 대규모 관세 부과로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불분명한 가운데, 관세 부과가 결정된 나라들이 보복 조치에 나서면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캐나다는 이날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최근 3년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노력했던 성과가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UBS는 “관세 조치가 2026년까지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뿐 아니라, 국내총생산(GDP) 감소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JP모건은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낮추지 않는다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으로 눈을 돌리면서 채권 시장은 초강세를 보였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4.002%까지 밀리며 관세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를 반영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전 세계 경제가 동시에 둔화될 경우 유일하게 채권시장이 안전지대로 여겨진 탓이다. 원·달러 환율은 1500원선을 넘보고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대한민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은 전날 공개한 26%에서 1%포인트 낮춘 25%로 최종 결정했다. 한국과 함께 발표자료와 부속서에 차이가 있던 인도·태국·필리핀·파키스탄 등 총 17개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율도 1%포인트씩 하향 조정됐다. 백악관은 자료 간 차이와 수정 배경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증시 최악 뉴욕증시 시가총액 자동차 관세 대규모 관세

2025-04-03

가격 폭등 공포에 사재기…소비자 빚 부담 증가

#. 30대 한인 A씨는 새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중국 수입품 가격이 비싸질 수 있다는 소식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에 담아 놓은 수십 개의 ‘찜’ 상품을 서둘러 구매했다. A씨는 “가격이 오를 것을 생각하면 오히려 수백 달러를 아낀 셈”이라고 강조했다.   #.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등 고가의 가전제품 해외 직구를 망설이던 한인 B씨는 관세와 보복 관세에 제품 가격이 오를까 싶어 결국 1년 가까이 참아온 구매를 완료했다. 그는 “출혈은 크지만 매도 먼저 맞는게 낫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서 커지고 있는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소비자들로 하여금 평소보다 더 많은 지출을 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크레딧카드닷컴의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 5명 중 1명꼴인 19%가 ‘둠 스펜딩(doom spending)’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둠 스펜딩은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때문에 충동적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행태를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의 추가 관세를 10%에서 20%로 두 배 늘리는 새 관세 정책을 강행했다.   이에 대해 크레딧카드닷컴의 존 이건 개인 금융 분석가는 “새로운 관세가 소비 지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는 많은 소비자의 소비 습관을 바꾸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변화는 이미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의 28%가 이미 가전제품이나 가정용품 등에서 큰 소비를 했으며, 22%는 비상식량, 화장지, 일반 의약품 등을 비축하고 있다.   관세 정책에 따라 가격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가의 제품이나 자주 사용하는 기본 생필품을 가격 변동에 앞서 미리 구매 중인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예방성 과다 소비가 부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에선 크레딧카드 부채가 있는 소비자의 34%가 올해 부채를 더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국내 크레딧카드 부채가 이미 1조2100억 달러를 초과한 상황에서 더 큰 부담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건은 “둠 스펜딩의 문제점 중 하나는 예산을 초과해 지출하게 만들고, 크레딧카드 부채가 늘어나면서 고금리 이자와 수수료로 인해 재정적으로 더 어려운 상황에 처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관세에 따른 물가 및 생필품 가격 상승에 앞서 높은 금리의 개인 부채를 먼저 갚고 비상금을 마련해 놓는 것이 현명한 재정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렌딩트리의 맷 슐츠 수석 크레딧 분석가는 “향후 몇 달간 경제가 어떻게 변할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며, “이럴 때일수록 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재정적인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훈식 기자관세 충동 관세 정책 대규모 관세 추가 관세 박낙희 지출 물가 인상

2025-03-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